위메이드 위믹스 지갑
위메이드 미르4가 흥행하면서 P2E, 플레이투언, NFT 와 같은 기술 테마도 덩달아 뜨고 있죠. 이전 글에서 잠깐 살펴 봤는데 최근 조금 꺾이기는 했지만 위메이드 기업 가치와 위믹스 코인의 가치도 급상승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르4의 게임 화폐인 드레이코와 위믹스 를 환전할 수 있고, NFT 화 한 게임 내 아이템을 사고 팔 수 있는 위믹스 지갑(WEMIX Wallet)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WEMIX Wallet 은 구글 앱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위믹스 지갑 다운로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wemadetree.wemixwallet&hl=en&gl=US
애플 앱스토어 위믹스 지갑 다운로드
https://apps.apple.com/kr/app/wemix-wallet/id1531057807
우선 폰에 위믹스 월렛을 설치하구요. 회원 가입하시면 제일 처음 이런 화면이 보이실 거에요. 위믹스 지갑이 생성된 모습이에요. 지금 저는 위믹스 지갑에 아무 토큰도 없어서 잔고가 0입니다.

아래는 위믹스 지갑 안에서 게임 안에서 사용되는 토큰들을 사고 팔 수 있는 거래소입니다. 특이하게도 업비트나 빗썸같은 코인 거래소와 다르게 아래 코인들은 원화가 아닌 WEMIX CREDIT 으로만 살 수 있습니다. 현재가도 원화가 아닌 WEMIX CREDIT 을 기준으로 한 단위입니다.

아래 사진은 위믹스 월렛 안의 NFT 마켓입니다. 미르 4 게임은 아니고, 위믹스 플랫폼에서 서비스되는 TORNADO 라는 게임 아이템들입니다. Frost Staff라는 아이템은 10만 위믹스 크레딧으로 살 수 있네요. 지금 위믹스 시세가 11,000원인데, 그럼 저 아이템은 오잉, 11억인가요? 이거 제가 계산한거 맞나요? 리니지같은 Pay to Win 방식의 게임에서 파는 고가 아이템도 2~3억정도 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진짜 눈 튀어 나오는 가격이네요.

위에서 보았듯이 위믹스 월렛 안에서는 위믹스 크레딧이 기축통화처럼 사용됩니다. 드레이코 시세도 위믹스 크레딧 기준으로 보여지고, NFT 마켓의 아이템 가격도 위믹스 크레딧을 기준으로 보여지죠! 그럼 이 위믹스 크레딧은 어떻게 구할까요?
위믹스 월렛 위믹스 크레딧 전환
아래 사진처럼 위믹스 월렛 안에서 위믹스 크레딧으로 바꾸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위믹스 지갑 안의 위믹스를 위믹스 크레딧으로 전환
전환수수료 : 1건당 0.005 WEMIX (1 위믹스가 10,000원일 때, 50원입니다)
이런 거래는 주로, 헤비 유저들이 많이 하겠죠? 보유한 위믹스를 굳이 수수료를 물고 위믹스 크레딧으로 바꾼다는 건 드레이코를 사거나 게임 아이템을 사겠다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그런지 수수료가 무척 싸네요. 건당 50원이니까요.
하루에 이런식의 전환이 만건 일어난다 가정하면 50만원, 한 달에 1,500만원, 1년에 1억 8000만원의 매출이 발생하겠네요. 이런 거래가 회사 매출에 기여하는 바는 별로 커 보이지는 않습니다.

2. 보유하고 있는 드레이코(DRACO)를 DEX(거래소) 매도하여 위믹스 크레딧으로 전환
수수료: 거래 금액 0.9% ( 1 드레이코= 0.05 위믹스 가정 20 드레이코 매도 1 위믹스 크레딧 매수 시 90원)
이런 거래는 주로 쌀먹(게임 아이템을 팔아서 쌀을 사먹는 주로 생계형 게이머들을 지칭하는 은어입니다) 들이 많이 할텐데요.
현재, 위믹스 월렛 안에서 일일 드레이코 거래량은 67만 ~ 220만 드레이코로 매우 다양합니다.
일별 드레이코 거래량을 100만으로 가정하고 위메이드의 매출을 계산해봅시다.
하루에 수수료로 9000 드레이코를 벌고 이는 450 위믹스, 1 위믹스는 10,000원 가정 시 일 매출 450만원, 월 매출 1억 3500만원, 1년 16억 2천만원 입니다.

위믹스 크레딧 환전으로 발생하는 매출은 얼마일까?
위믹스 토큰은 위메이드 트리라는 위메이드 자회사에서 운영하고 있고 얼마 전에 위메이드에 흡수 합병되었습니다.
문제는 위메이드 트리에서 이 모든 거래 수수료를 위믹스로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위믹스 가격에 따라 회사의 매출이 급격하게 변동하겠죠.
1번과 2번 거래를 합쳤을 때, 미르 4 환전 수입이 연간 위믹스 18만개 정도 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위믹스가 100원이면 위메이드 트리의 매출은 1,800만원, 위믹스가 100,000원이면 위메이드 트리의 매출은 1800억원이 됩니다. 이거 너무 극단적인 거 아닌가요?
그리고, 위메이드 트리의 매출이 장부상 1,800억원이래도 보유 위믹스를 원화로 현금화하지 않는 한 언제나 쪼그라들 수 있다는 걸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위메이드의 미르4와 관련해서 좀 특이한 점
위메이드의 미르4와 관련해서 좀 특이한 점이 있는데 아이템 거래, 스테이킹, 캐릭터 거래는 XDRACO라는 또다른 사이트에서 게임 내 토큰 DRACO를 기준으로 하고 있네요. 왜! 굳이! 위믹스 월렛을 만들어 놓고 이 안에 NFT market도 있는데 위믹스가 아니고 DRACO로 하는지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위믹스 지갑에 대한 간단한 리뷰 마치며…
투자 좋아하는 겜린이가 미르4와 위믹스 월렛, 위메이드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는데요. 잘못된 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근 위믹스 가격에 대해 한 번 예측해보았는데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다음 글도 읽어보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2개의 댓글
Jay · 2021-12-07 19:23
좋은 글 감사합니다 투자에 참고하겠습니다 🙂
P2E game인 미르4가 게임체인저일까? 더 중요한 건 위믹스 토큰 - voidint.com · 2021-12-30 19:06
[…] 위믹스 지갑(Wemix Wallet)과 위믹스 크레딧 – voidint.com […]